챗 gpt 이외에도 요즘 너무나 많은 인공지능 플랫폼이 생겨났습니다. 여러 강의팔이나 유튜브를 보다보면 ai를 이용해서 손쉽게 포스팅을 하는걸 자주 보게되는데요.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과연 ai 글쓰기(챗 gpt등을 이용한)는 무조건 안좋은 것일까?
그래서 제가 오늘부터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어떤 테스트인지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Ai로 블로그 포스팅
기존에는 항상 gpt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100%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티스토리 1개도 겨우겨우 굴렸지만요. 저는 생각보다 일 벌이는걸 좋아해서 운영은 1개만 하지만 많은 블로그들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구분 | 비고 |
티스토리 | 1호기 : 메인 티스토리(100% 손수 작성) 2호기 : 최적화만 받아놓은 티스토리 3호기 : 최적화만 받아놓은 티스토리(2) 4호기 : 현재 이 블로그 |
워드프레스 | 1호기 : 애드센스 승인만 받아놓은 블로그(수익0) 2호기 : 만들어만 놓은 워드프레스 - 게시글0 |
티스토리 블로그 1호기와 2호기에 ai를 활용해서 포스팅을 시작했습니다(2024-10-23)
1호기 : 기존처럼 손으로 100% 작성과 gpt를 이용한 ai 포스팅을 병행 (1:1비율)
2호기 : 오로지 gpt를 활용한 포스팅 진행
오늘부터 작성했기 때문에 유의미한 결과는 한달정도 뒤에 확인이 되지 않을까요?
나름의 전략이 있음
무작정 챗 GPT에 가서 "ㅇㅇ로 포스팅을 할테니까 원고를 써줘~" 라고 해서 원고만 덥썩 받아서 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현재 ai 포스팅을 하는 방식은
- 프롬프트를 최대한 깎아서 원하는 결과값 도출
- 프롬프트를 통해서 1차 원고 생성 (예. 챗 GPT)
- 생성된 원고를 다른 플랫폼에서 가공 (예. 챗 GPT에서 원고생성 -> 다른 플랫폼가서 원고 수정)
- 문장, 표현, 문맥등 내 스타일대로 수정
이런식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저는 챗 GPT를 사용하지는 않고 다른 플랫폼 2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결과는 언제?
일단 매일 ai를 이용해서 포스팅을 해보면서 모니터링 할 예정입니다. 직접해보니까 프롬프트를 얼마나 잘 짜느냐가 중요한것 같아요. 애들이 ai지만 나름 멍청해서 엉뚱한 결과를 내놓기도 합니다.
어쩔수없이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올때까지 계속 깎는수밖에 없을것 같아요ㅋㅋ
내용은 계속 공유를 할테니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